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폴란드 여왕 키우기/등장인물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 * 유렉 카피에니에츠 포돌스키에 살던 소년. 유렉의 가족은 폴란드와 오스만 간의 전쟁 도중 피난 가다가 도적에게 끌려갔다. 정훈이 엘라와의 결혼 전 정훈을 대신해 카피에니에츠의 안살림을 맡았다. * 아담 아다만디 코한스키 예수회 신부.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정훈을 찾아와서 정훈에게 여러 질문을 던진다. 정훈은 대답을 빌미로 여러 행정적 업무를 맡긴다. * 다리오 폴란드의 의적(하이두크). 정훈을 만나 갱생하고 악덕 지주를 때려잡는 형제단을 이끌고 있다. 후에 붙잡혀 신성 로마 제국 측에 의해 잔인한 형태로 처형당하지만 정훈과의 연관성을 자백하라는 강요에도 굴하지 않고 자신의 의기를 드러내며 장렬하게 사망. * 파벨 다리오의 동생. 정훈의 휘하에서 형인 다리오가 이끄는 도적단과 싸운다. * 레반도프스카 부인 보얀의 어머니. 엘주비에타에 의해 왕실 시녀장으로 발탁된다. 주인공의 자식을 키우고 있다. * [[윌리엄 키드]] 해적질을 하다 귀양가던 히에로님의 배를 마주쳐 히에로님을 죽였다. 이후 원역사처럼 붙잡혀 영국으로 압송돼 죽을 날만 기다리다 마침 영국 방문 중이던 정훈이 영국 왕 윌리엄 3세와 거래하여 사형을 위장하고 루테니아로 데려와 독일인 ‘빌헬름 키드’라는 위장 신분을 주고 루테니아 해군 사령관에 앉힌다. 정훈 밑에서 능력을 발휘하여 오스만 해군을 격퇴하고 그 보답으로 가족들도 모두 루테니아로 데려오게 된다. 콘스탄티노플 함락 이후 베네치아 문제를 처리하게 된 얀(수호)에게 자신의 '아들' 겸 후계자인 사무엘 키드를 소개하고 병사한다. * 사무엘 키드 윌리엄 키드의 아들로 소개되었으나....사실은 딸이었다. 본명은 사라. 아버지가 자신의 사후에도 연방 해군을 육성할 후계자를 남기겠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 아들로 키웠다고 한다. [* 작은 키의 미청년이라는 묘사, 처음 얀을 만났을 때 손등에 입을 맞추는 대신 악수하는 모습을 보고 남장여자라는 추측을 한 독자들이 적지 않았다.] 얀과 함께 몰타에서 동고동락을 하면서 그에 대한 연정을 품게 되었고, 후에 베네치아 멸망 후에 야드비가의 허락으로[* 사라의 정체를 알게 된 얀이, 야드비가에게 (부부끼리는 숨기는 게 없어야 한다는 이유로) 사라에 대한 이야기를 실토했다.] 얀의 아이를 가지고 가문의 대를 잇게 된다. ~~순애의 별이 빛난다는 말을 들을 정도의 인테르마리움에서 본격적인 크킹 스토리가 나오나 기대했지만 어쨌든 순?애 엔딩. 당연하지만 서자이기 때문에 평생 황가로서의 권리를 주장할 수는 없지만, 아들은 향후 키프로스 공으로 임명되고, 군사 교육을 받아 제국의 바다를 책임지는 방계 가문으로 성장한다고 한다. 여담으로 해적 일을 하면서 유명한 여해적인 [[메리 리드]], [[앤 보니]]와 의자매를 맺었다.[* 셋이 야자수 아래에서 결의를 맺었다고 한다. [[도원결의]] 패러디.] * [[https://en.wikipedia.org/wiki/Abraham_Darby_I|아브라함 다비]] 잉글랜드인으로 원역사에서는 철 제련에 [[코크스]]를 최초로 사용한 업적을 남긴 사람. 영국을 방문해 산업시설들을 시찰하던 정훈의 눈에 들어 루테니아로 스카우트되어 강철 제조법 개량을 맡는데 [[공밀레]] 끝에 [[도비|다비는 이제 자유예요]]라는 명대사를 남기며 성공, 루테니아의 '아이언 마스터'에 임명된다. * [[드니 파팽]] 프랑스의 과학자로 역시 정훈에게 스카우트되어, [[공밀레]] 끝에 임신한 엘라가 편하게 탈 수 있도록 현대적 조향장치와 충격 흡수장치를 갖춘 마차를 개발하게 된다. * 알로이지 지우코프스키 시골 약제사의 아들이었으나 능력을 알아본 정훈에 의해 루테니아의 보건책임자로 임명되고 우두를 이용한 천연두 백신 개발에 성공한다. * 보스구와프 므위나르치크 빈니치에 사는 루테니아 공국민. 아내는 동네 소꿉친구. 군대 체질이라는 걸 깨닫고 카미에니에츠에 신설된 사관학교에 들어가기 위해 카미에니에츠로 이주한다. * 요한 뵈트거 원역사에서는 마이센 도자기를 만들어낸 연금술사. 원역사와 마찬가지로 감금되어 연구를 하다가 연방에서 자기가 생산되자 독촉이 심해지면서 진짜로 죽을 것 같아 탈출한다. 우여곡절 끝에 연방으로 망명했고 정훈은 이야기를 나누다 그가 염료 쪽에도 실력이 있고 [[프러시안블루]]를 연구하던 연금술사들과 연이 있음을 알고 연구 지원 및 지인들을 스카우트해 볼 것을 주문한다.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비젠부르크 공작 레오폴트''' [[올덴부르크 왕조]] 방계의 [[신성 로마 제국]] 출신 고위 귀족. 하지만 신성 로마 제국 황제들의 만행으로 인해 폴란드에 붙는다. 어머니는 피아스트 왕조의 마지막 공주인 레그니차-브제크-볼라우의 카롤리나 피아스투브나. 엘주비에타는 이 혈통을 눈여겨 보고 거액의 연금과 차기 국왕과의 국혼을 조건으로 모자를 연방으로 불러들인다. 여왕의 4총신 중 하나인 스타니스와프 포니아토프스키의 여동생 조피아 아그니에슈카 포니아토프스카와 결혼하여 1701년 장녀 야드비가를 낳는다. 연방 내에서는 정통성 문제로 어머니의 성씨인 피아스트를 쓸 수 있게 되면서 레오폴드 피아스트라고도 불린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외갓집의 땅이던 슐레지엔 지역을 합친 신생 실롱스크 공국의 공작이 되고, 연방에 충성 맹세를 한다. * '''조피아 아그니에슈카 포니아토프스카''' 여왕의 총신 포니아토프스키의 여동생. 레오폴트와 결혼해 장녀 야드비가를 두었다. 여왕의 시녀로 일한다. *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조피 루이제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후처. 메클렌부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여동생. 아이와 함께 친정으로 쫓겨나는 중 새 선제후에게 암살당할 뻔했으나 보얀이 구해준다. 이후 둘이 눈이 맞는다. * '''야드비가 피아스투브나''' 레오폴트의 장녀로 1701년생. 본명은 헤트비히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비젠부르크이지만 연방 내에서는 정통성 문제로 아버지가 외가 쪽 성씨인 피아스트를 쓸 수 있게 되면서 야드비가 피아스투브나로 불린다. 1714년 봄 크라쿠프에서 얀과 약혼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